info-lovely1000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저는 마취간호 분야에서 10년 이상 임상 경험을 가진 간호사입니다. 대학병원 수술실 및 회복실에서 전신마취, 부위마취, 회복관리 케이스를 경험했고, 다양한 고위험 환자의 마취 계획 및 통증 관리를 수행해왔습니다. 작성하는 모든 글은 학술 문헌, 교과서, 실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도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이메일로 연락 주세요. 📩 info.lovely1000@gmail.com

  • 2025. 3. 29.

    by. info-lovely1000

    목차

      기관지경 삽관 완전 정복: 마취과에서 사용하는 실제 임상 기법과 응급 상황 대응 전략

      ✨ 기관지경 삽관(fiberoptic intubation)은 고위험 기도 환자에서 사용되는 고급 삽관 기법으로, 일반적인 직시적 삽관이 실패하거나 어려운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경추 고정이 필요한 외상 환자, 비만, 안면 기형, 종양 등 해부학적으로 어려운 기도 환경에서는 필수적인 기술로 간주됩니다. 이 글에서는 기관지경 삽관의 적응증, 준비과정, 실제 시술 절차, 임상적 고려사항을 자세히 다루고자 합니다.


      ✅ 1. 기관지경 삽관의 적응증 및 필요성

      기관지경 삽관은 다음과 같은 환자에서 필요합니다:

      • 경추 고정이 필요한 외상 환자: 경추 손상을 고려할 때 목의 과신전을 피해야 하며, 이 경우 직시적 후두경이 제한됩니다.
      • 비만 환자: BMI가 35 이상일 경우 후두 시야 확보가 어렵고 산소 예비량도 감소합니다.
      • 안면 기형 또는 외상: 악안면 기형, 상악 절제술 병력 등으로 인해 구강 경로 확보가 어려운 경우
      • 기도 종양 또는 협착 환자: 전산화단층촬영(CT)이나 MRI 상 기도 폐쇄 가능성이 있는 환자

      기관지경은 성문을 직시하지 않고도 기도 구조를 관찰하며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유일한 대안일 수 있습니다.


      ✅ 2. 삽관 전 준비과정

      📌 환자 평가

      • Mallampati Score
      • Thyromental distance (<6cm일 경우 어려운 삽관 가능성 ↑)
      • 기도 내 병변 여부
      • 전신 질환 (예: 협심증, COPD 등)

      📌 약물 전처치

      • 항콜린제: Glycopyrrolate 0.2mg IV (분비물 억제 목적)
      • 진정제: Midazolam 소량
      • 국소 마취제: Lidocaine 4% 에어로졸 or Nebulizer

      📌 기구 준비

      •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e
      • Oxygen delivery system (HFNC, nasal cannula)
      • 흡입기
      • Airway exchange catheter (대체 삽관용)

      ✅ 3. 시술 절차 단계별 설명

      1. 비강 또는 구강 경로로 기관지경 삽입
      2. 후두개, 성문, 성대를 순차적으로 관찰
      3. 삽관 튜브를 기관지경을 따라 삽입
      4. 삽관 후 기관지경을 제거하고, 튜브 위치 고정
      5. EtCO₂, 청진, 흉부 팽창을 통해 튜브 위치 확인

      💡 주의: 환자가 자발호흡 상태인 경우, 흡입 산소 유지 및 진정 깊이 조절에 매우 유의해야 합니다. 산소화가 불안정해질 경우, 즉시 대체 기도 확보 수단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4. 기관지경 삽관 시 발생 가능한 합병증

      • 저산소증: 삽관 시간이 길어질 경우 산소 포화도 급격히 하락
      • 기도 외 삽관: 기관 대신 식도 또는 인두에 삽입될 위험
      • 출혈: 비강 삽입 시 점막 손상
      • Bradycardia: 미주신경 자극에 의한 반사작용
      • 기관지경 오염/고장: 세척 미흡 또는 삽입 도중 손상

      ✅ 5. 임상 적용 사례

      중환자실에서 의식이 있는 고위험 환자에게 기관지경을 이용한 Awake Intubation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사례에서, 산소 포화도 유지와 환자 협조 유도, 통증 조절이 핵심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섬망이나 혼수 상태의 환자에게 적용 시, 최소한의 진정과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성공률을 높였습니다.

      기관지경 삽관 완전 정복


      🔗 추천 콘텐츠


      👩‍⚕️ 작성자 소개

      이 글은 10년 차 마취간호사로서 수많은 기도 확보 시도와 실패, 성공을 경험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기관지경 삽관은 기술뿐 아니라 전략과 팀워크, 철저한 준비가 요구되는 고난도 기술입니다.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기술인 만큼, 꾸준한 학습과 사례 공유가 필수적입니다.


      📚 참고 문헌

      • Miller’s Anesthesia, 9th Ed.
      • ASA Difficult Airway Management Guidelines
      •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23 Vol.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