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lovely1000 님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저는 마취간호 분야에서 10년 이상 임상 경험을 가진 간호사입니다. 대학병원 수술실 및 회복실에서 전신마취, 부위마취, 회복관리 케이스를 경험했고, 다양한 고위험 환자의 마취 계획 및 통증 관리를 수행해왔습니다. 작성하는 모든 글은 학술 문헌, 교과서, 실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도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이메일로 연락 주세요. 📩 info.lovely1000@gmail.com

  • 2025. 3. 23.

    by. info-lovely1000

    목차

      기도 유지와 기관 내 삽관

      기도 유지와 기관 내 삽관

      1. 서론

      기도유지 및 기관내삽관은 전신마취, 응급처치, 중환자 진료에서 핵심적인 술기로, 안전한 마취 유도와 환자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절차이다. 기도의 해부학적 이해, 기도평가, 적절한 기도유지 기구의 선택, 정확한 기관내삽관 절차 등은 마취과 의사뿐 아니라 응급의학과, 중환자의학, 이비인후과 의사에게도 중요한 지식이다. 본 장에서는 기도 해부학, 기도유지 방법, 기관내삽관의 적응증, 절차, 합병증 관리 및 최신 술기까지 포괄적으로 고찰한다.

      2. 기도 해부학

      기도는 해부학적으로 상기도와 하기도로 구분되며, 상기도는 비강(nasal cavity), 인두(pharynx), 후두(larynx)로 구성되고, 하기도는 기관(trachea) 및 기관지(bronchus)로 이어진다. 상기도 중 가장 중요한 구조물은 후두이며, 성대와 후두개가 위치한다. 성대는 진성 성대(true vocal cord)와 가성 성대(false vocal cord)로 구분되며, 후두개는 음식물의 기도로의 흡인을 방지한다. 기관은 C자형 연골 구조를 가지며, 기관 내경과 길이는 환자의 연령, 성별, 신장에 따라 상이하다.

      소아에서는 후두가 상대적으로 좁고 위쪽에 위치하며, 후두개가 더 두껍고 유연하므로 삽관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성인에서는 후두 위치가 하강되어 있고 기관 직경이 더 넓고 연조직이 발달해 있어 비교적 삽관이 용이하다.

      3. 기도유지 방법

      3.1 안면마스크

      안면마스크는 가장 기본적인 기도유지 장치로, 주로 짧은 시술이나 마취 유도 시 사용된다. 기도폐쇄가 우려되는 경우 jaw thrust, chin lift, head tilt 등의 자세 조정과 함께 사용된다. 마스크를 통한 자발호흡 유지가 가능하며, 필요시 양압환기(positive pressure ventilation)가 가능하다. 적절한 크기 선택과 밀폐 유지가 중요하다.

      3.2 구강기도 유지기

      구강기도 유지기는 혀의 후방 이동으로 인한 기도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적합하다. 올레이 기도유지기(Oropharyngeal airway)는 성인의 경우 크기 80~100 mm가 주로 사용된다. 삽입 시에는 입술을 따라 혀 위를 지나도록 주의하여 삽입해야 한다.

      3.3 비강기도 유지기

      비강기도 유지기는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코를 통해 삽입하여 비인두의 기도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비출혈, 비중격편위, 항응고제 사용 환자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4. 기관내삽관의 적응증과 평가

      기관내삽관은 자발호흡이 불가능하거나, 기도 보호가 필요한 상황에서 시행된다.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 전신마취가 필요한 수술
      • 기도폐쇄 위험이 있는 환자
      • 의식 저하로 기도 반사 소실이 예상되는 경우
      • 중증 외상 및 쇼크 상태
      • 호흡정지 또는 호흡부전

      기관내삽관 전 사전 기도평가는 필수적이며, Mallampati 점수, 경부 신전 범위, 구강 개구 범위, 갑상연골 위치, 치아 구조 등을 평가한다. Mallampati Class III 또는 IV, 갑상연골의 위치가 높거나 경부 운동 제한이 있는 경우 어려운 삽관이 예상된다.

      5. 기관내삽관 기법 및 장비

      5.1 후두경 사용

      직선형(Miller) 또는 곡선형(Macintosh) 후두경을 사용하며, 전통적 직접 후두경법(direct laryngoscopy)을 통해 성문(glottis)을 시야에 확보하고 기관튜브를 삽입한다. 최근에는 비디오 후두경(video laryngoscope)이 널리 사용되며, 좁은 시야에서도 성문 노출이 용이하다.

      5.2 기관튜브 선택

      기관튜브는 주로 polyvinyl chloride(PVC) 재질로 제작되며, 성인의 경우 내경 7.0~8.0 mm 사이의 튜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커프형 튜브는 흡인 예방과 환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이다. 튜브 끝에는 Murphy eye가 있어 폐색 방지 역할을 한다.

      5.3 삽관 절차

      1. 산소 공급 후 전신마취 유도
      2. 근이완제 투여 (예: rocuronium, succinylcholine)
      3. 후두경 삽입 후 성문 시야 확보
      4. 기관튜브 삽입 및 커프 팽창
      5. 이산화탄소 측정기(capnography) 및 흉부 청진으로 삽관 확인

      6. 어려운 기도관리 전략

      어려운 기도는 직접 후두경으로 성문 확인이 어렵거나 기관삽관 실패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말하며, 예상되거나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전략이 적용된다:

      • 예방적 준비: 비디오 후두경, 성문 상부 기도유지 기구(SGA), 후두마스크 기도(LMA), fiberoptic bronchoscope 준비
      • 깨우기 전술(Wake-up strategy): 실패 예상 시 환자를 각성시켜 대체 접근 준비
      • 외과적 기도 확보: 크리코토미, 기관절개술 등의 응급 술기 숙지

      ASA Task Force에서는 예상되는 어려운 기도관리에 대해 단계적 접근법을 제시하며, 반드시 대체 전략을 수립할 것을 권고한다.

      7. 기관내삽관 후 관리

      기관내삽관 후에는 다음 사항들을 확인하고 문서화한다:

      • 튜브 위치 확인: 치아에서 튜브 끝까지 거리
      • 커프 압력 확인: 20–30 cmH₂O 유지
      • 튜브 고정 상태 확인 및 재고정 필요 여부
      • 흡인 방지 조치 수행

      기관삽관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치아 손상, 성문 손상, 후두 부종, 기관 협착 등이 있으며, 삽관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8. 결론

      기도유지와 기관내삽관은 마취통증의학과 응급의학의 중심을 이루는 핵심 술기이다. 해부학에 대한 철저한 이해, 정확한 사전 평가, 숙련된 술기 적용, 상황에 따른 전략적 대응이 합쳐져야 환자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특히 예상되지 않은 어려운 기도상황에서도 구조화된 알고리즘과 풍부한 술기 경험은 치명적인 결과를 예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향후에는 인공지능 기반 예측 시스템, 자동 삽관 로봇 기술, 고해상도 영상장비와 같은 기술의 발전이 기도유지 및 기관내삽관의 정밀성과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진은 이러한 흐름에 맞춰 지속적인 교육과 임상 훈련을 통해 술기 역량을 강화해나가야 한다.